경구 피임약 복용 중 부정출혈이 나타난다면?
생리 주기의 조절, 피임, 생리 주기를 늦추기 위해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우리는 경구 피임약을 복용하게 됩니다. 실제 잦은 부정출혈과 생리 주기가 맞지 않는 분들은 장기적으로 경구 피임약을 처방받아 복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구 피임약 복용 중 우리한테 치명적인 부작용이 나타난다면 우리는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할까요?
경구 피임약은 21 정형, 28 정형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뉘게 됩니다. 두 타입 모두 경구 피임약으로서의 효과는 동일하지만, 이러한 경구 피임약도 온전히 부작용이 없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흔히 말하는 부정출혈이라는 부작용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 넘어가기 전 잠깐! 올바른 피임약 복용법 알고가세요 ! https://www.dodonwes.co.kr/33
초기 2~3개월까지는 경구 피임약 복용으로 인한 부정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대부분의 경구 피임약 부작용으로 나타나게 되는 부정출혈의 경우 복용 초기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 복용하고 2~3개월까지는 갑작스러운 부정출혈이 나타나게 되며 복용 중인 분들께 꽤나 당혹스러운 경험을 하게 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거나 하는 것보다는 산부인과, 여성의원 등을 찾아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맞지 않는 경구 피임약 복용 시 계속해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경구 피임약의 경우 약국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는 만큼 내게 맞는 것을 찾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모든 피임약 성분이 내 몸에 다 맞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부작용이 더욱 크게 나타나는 피임약도 있을 수 있으며 그러한 맞지 않는 경구 피임약을 오랜 기간 복용하는 경우 지속적인 복통, 두통, 부정출혈에 오랜 기간 시달릴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초기 기간을 제외하고도 계속해서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 경구 피임약을 바꿔보시는 것 또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복용 중간에 약을 바꾸거나 하지 않고, 21정 복용 후 7일의 휴약기를 거친 후 다음 약 복용 시기에 바꿔주셔야 합니다.
장기 복용 후 한 두 달 쉬어가는 기간을 가져야 한다
여러 목적을 가지고 경구 피임약을 복용할 때 또 기억해야 할 점은 너무 오랜 기간 장기간 복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는 점입니다. 혹여라도 1년 이상 복용 기를 가졌다면, 중간에 한 달 혹은 두 달 정도 쉬어주는 휴약기를 가져야 합니다. 2년 이상 장기간 휴약기 없이 복용하게 된다면 부작용이 나타날 확률이 높아지게 되며, 간 수치에도 영향을 주는 등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장기간 약을 복용하는 것은 몸에 큰 무리가 되기 때문에, 특히 경구 피임약을 6개월 이상 복용하시는 분들의 경우 중간중간 간 수치를 체크해보시며 간 수치가 너무 높아지지 않는 선에서 복용하고, 몸 상태에 따라 휴약기를 가지는 등 건강한 복용을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재확진 확률 얼마나 되며 어떤 증상을 보일까? (0) | 2022.11.24 |
---|---|
경구 피임약 복용법 올바른 방법 알고 복용하기 (0) | 2022.11.24 |
임신 초기 증상 및 임신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2.11.18 |
임신 주차 계산과 출산 주차 계산 하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2.11.13 |
침묵의 질병이라 불리는 췌장암이 무서운 이유 (0) | 2022.10.28 |
댓글